4일부터 캐나다·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관세
트뤼도 총리, 멕시코와 공동 대응 시사
반도체·철강 등도 관세 예고…한국도 타격 가능성
[대한안전신문 양현철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해 오는 4일(현지시간)부터 보편적 관세를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 자신의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조치를 내렸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결정의 이유로 불법 이민자와 마약을 재차 거론하며 "우리는 미국 국민을 보호해야 하며 모두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대통령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북부 국경에서의 불법 마약 흐름에 대응하기 위한 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따르면 캐나다의 에너지 제품을 제외한 모든 물품에 25%의 관세가 부과된다. 원유 등 캐나다산 에너지 제품에는 10%의 관세가 붙는다.
멕시코에 대해서는 에너지류를 포함한 모든 제품에 25%, 중국에 대해서도 10%의 보편 관세를 각각 부과한다.
백악관 관계자는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스(NYT) 등 외신을 통해 "관세에서 예외 되는 품목이 없을 것"이라면서 "개별 기업이 특별히 면제를 받는 절차도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관세는 불법 펜타닐이 미국으로 유입되는 경로를 해당 국가들이 제거했다는 사실을 미국이 확인할 때까지 유지될 것"이라면서 펜타닐 유입 상황의 개선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펜타닐로 인한 미국인 사망이 멈추고 국경에서의 (불법) 이주와 범죄 활동이 극적으로 줄어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더그 포드 캐나다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캐나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는 미국을 해치고, 미국인들을 더 가난하게 만들 뿐"이라면서 "이제 캐나다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도 트럼프 대통령의 서명 직후 엑스에 글을 올려 "멕시코의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과 곧 통화할 것"이라면서 멕시코와의 공동 대응을 시사했다.
만약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 정부가 예고한 대로 미국에 맞대응 조치에 나설 경우 글로벌 경제의 혼란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반도체, 철강, 알루미늄, 석유, 가스, 의약품 등에 대한 부문별 관세 부과 방침도 전날 밝힌 바 있다.
특히 미국이 한국의 주력 수출 상품인 반도체를 비롯해 다른 부문에도 추가 관세를 매길 경우 한국도 큰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