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델이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목동점에서 제품을 보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대한안전신문 양은모 기자] 도보경제권이 활성화되면서 기업형슈퍼마켓(SSM)이 인기를 끌고 있다. 대형마트와 편의점의 장점을 결합해 시간과 비용은 절감하면서도 신선식품과 퀵커머스를 통한 배송 경쟁력은 앞세워 소비자들의 발길을 불러 모으는 것이다. 주요 유통업체가 점포를 출점하는 기세도 가팔라 SSM의 인기는 당분간 지속될 거란 전망이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SSM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8.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유통업체 중 편의점(6.0%)과 대형마트(4.0%), 백화점(5.5%)보다 높은 성장세를 보였다. 2016년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올해 3월엔 SSM의 점포 수 증가율 역시 4.0%로 집계돼 대형마트(-1.6%)와 백화점(0.0%), 편의점(3.9%)을 모두 앞서며 성장을 가속화했다.
SSM은 짧지만 굴곡진 역사를 자랑한다. 대형마트 시장이 포화에 다다른 2000년대 후반 SSM은 대기업의 전략적 선택지로 급증했다. 동네 상권 위주의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자구책으로서 인기를 끈 것이다. 실제 시장경영진흥회에 따르면 SSM은 2003년 234개에서 2010년 866개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SSM의 영향력이 확대되자 소상공인과 영세상인의 밥그릇을 빼앗아간다는 여론이 형성됐다. 골목상권 보호를 위한 영업시간 제한, 의무휴업일 지정 등 규제 법안이 쏟아지면서 SSM은 성장 동력을 잃고 말았다. 여기에 쿠팡을 비롯한 이커머스의 출현과 팬데믹까지 더해지며 SSM의 부침은 지속됐다.
그러다가 지난해 2분기를 기점으로 매출이 지속 성장하며 반등에 성공한 모습이다. SSM이 최근 다시금 인기를 끄는 건 고물가에 따른 외식업 침체와 맞닿아 있다. 밖에서 음식을 사 먹는 대신 집에서 요리로 끼니를 해결하고자 하는 '외식의 내식화’ 흐름에 따라 SSM이 장보기 수요를 흡수하면서다. 생필품은 이커머스를 통해 대량으로 구매하면서도 식재료와 신선식품은 여전히 직접 보고 만지며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이 많은 것도 한몫한다. 실제로 지난 3월 기준 SSM의 식품 비중은 93%에 달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 이 기간 SSM 내 품목 중 농수축산(9.6%), 가공식품(3.9%), 신선·조리식품(1.8%) 등 대부분 식품 쪽에서 매출 증가세가 뚜렷했다.
SSM은 대형마트에 비해 접근성이 뛰어나고 편의점에 비해 구색이 다양하다. 쇼핑 시간이 덜 소요되고 동선이 쾌적하다는 장점도 있다. 여기에 이전 SSM에 없던 퀵커머스를 통해 편리성까지 극대화했다. 퀵커머스는 근거리 고객이 상품을 주문하면 1시간 내외로 배송해주는 서비스다. 이는 유통 채널이 이커머스와 배달 위주로 재편되면서 생겨난 변화다. 별도의 MFC(마이크로풀필센터) 건설 비용 없이도 기존 SSM 매장 자체를 하나의 물류센터로 활용하면서 SSM의 퀵커머스 도입은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수요가 집중된 식품군의 경우 구매와 소비의 간극이 하루가 채 되지 않을 정도로 주기가 짧다. 배송 경쟁력이 더욱 중요한 것이다. SSM의 배송 품질이 전체 실적에 미치는 영향력은 지표로도 드러난다.
먼저 홈플러스가 운영 중인 ‘즉시배송’은 2021년 2월 공식 론칭 이후 3개년 연평균 성장률(CAGR)이 84%에 달한다. 이번 회계연도(2023년 3월~2024년 2월) 기준 즉시배송 전체 매출은 60% 뛰었고, 점포별로는 최대 310% 오르기도 했다. ‘즉시배송’을 통한 소용량 제품 전체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50%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시배송’은 점포 반경 2~2.5㎞ 이내 고객이 주문 상품을 1시간 내외로 받아볼 수 있다. 전국 310여개 점포 중 약 80%에 해당하는 점포에서 제공하고 있다.
업계 선두를 달리는 GS더프레시는 신선식품(과일, 육류, 계란 등), 우유, 두부 등 생활 밀착형 상품9000여종에 대해 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 퀵커머스 매출은 전년 대비 49.2% 성장하며 견인차 구실을 했다. 이에 힘입어 올해 1분기에도 GS더프레시의 매출은 11.6% 늘어난 3809억원, 영업이익은 130.4% 증가한 99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는 GS더프레시의 점포 수는 SSM의 인기를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2021년 341개에서 이듬해 378개, 지난해 말 434개를 거쳐 이달 1일 기준 469점까지 늘었다. 오는 7월까지 500호점을 돌파할 것으로 GS더프레시는 내다보는 중이다. 한달에 10개씩 출점을 이어가는 셈이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SSM의 인기는 야채나 채소, 과일 등 싱싱한 제품의 경우 슈퍼에서 구매하려는 소비자가 많기 때문"이라며 “동네에 위치한 접근성과 넓고 쾌적한 인테리어, 배달 서비스 등이 SSM의 경쟁력”이라고 평가했다.